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결혼식 축의금, 얼마가 적당할까? 상황별 금액 가이드
결혼식에 참석할 때 가장 고민되는 부분 중 하나가 축의금이다.
관계에 따라 너무 적거나 많으면 어색할 수 있기 때문에, 적절한 금액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
이번 가이드에서는 관계별, 상황별로 적절한 축의금 금액을 정리해보았다.
관계별 축의금 적정 금액
관계축의금 추천 금액
관계 | 축의금 추천 금액 |
회사 동료, 지인 | 5만 원 |
가까운 친구 | 10만 원 |
친한 친구, 동기 | 10만 원~20만 원 |
직장 상사 | 10만 원~20만 원 |
친척 (사촌, 조카 등) | 10만 원~30만 원 |
형제·자매 | 50만 원~100만 원 이상 |
팁:
- 보통 5만 원, 10만 원 단위로 맞추는 것이 일반적이다.
- 너무 애매하면 10만 원이 가장 무난한 선택이다.
- 친밀도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좋다.
축의금 줄 때 주의할 점
✔ 축의금 봉투 사용하기
- 현금을 그냥 주는 것은 예의가 아니므로, 반드시 봉투에 넣어서 전달해야 한다.
- 한자 "壽(수)" 또는 "祝結婚(축결혼)"이 적힌 봉투를 사용하면 더욱 정석적인 느낌.
✔ 홀수 금액 맞추기
- 축의금은 **홀수 금액(5만 원, 10만 원, 30만 원 등)**으로 맞추는 것이 일반적.
- 20만 원도 가능하지만, "2"는 나눈다는 의미가 있어 피하는 경우도 있음.
- 30만 원 이상부터는 짝수 금액도 괜찮음.
✔ 현금 깨끗하게 준비하기
- 가능하면 새 돈(신권)으로 준비하면 더욱 정성스러워 보인다.
- 은행에서 미리 신권 교환 가능.
✔ 축의금 봉투에 이름 기재
- 보통 봉투 앞면 왼쪽에는 이름을, 오른쪽에는 금액을 적는다.
- 만약 부부가 함께 축의금을 낸다면, 두 사람의 이름을 모두 적어도 무방하다.
결혼식 참석 여부에 따른 축의금 차이
✔ 참석하는 경우
- 위의 표에 나온 금액대로 축의금을 준비하면 된다.
- 만약 식사도 하지 않고 축의금만 내고 간다면, 기본 금액보다 조금 적게 내도 무방.
✔ 불참하는 경우
-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평소보다 50% 정도 줄여서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.
- 예: 참석 시 10만 원 → 불참 시 5만 원
- 단, 가까운 친척이나 절친이라면 불참해도 기존 금액을 유지하는 것이 예의.
✔ 온라인 송금도 가능할까?
- 최근에는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 계좌이체로 축의금을 보내는 경우도 많음.
- 하지만 계좌이체만으로 끝내지 말고, 신부나 신랑에게 따뜻한 축하 메시지를 함께 보내는 것이 중요
결론 및 요약
결혼식 축의금은 관계에 따라 금액을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
일반적으로 지인 5만 원, 친구 10만 원, 가족 30만 원 이상을 기준으로 하면 된다.
그리고 축의금 봉투에 홀수 금액을 넣고, 깨끗한 현금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.
✔ 축의금 핵심 정리
- 일반적인 지인은 5만 원
- 친한 친구 및 직장 상사는 10만 원 이상
- 친척은 10만 원~30만 원, 형제자매는 50만 원 이상
- 불참 시 원래 금액에서 50% 정도 줄여서 송금
✔ 축의금 줄 때 실수하지 않으려면
- 반드시 봉투에 넣어 전달
- 홀수 금액(5만 원, 10만 원, 30만 원 등) 맞추기
- 계좌이체 시 따뜻한 메시지 함께 보내기
이제 고민하지 말고, 관계에 맞는 적절한 축의금을 준비하자.
반응형